JPT / JLPT
일본어를 공부하시는 분들! 모두 각각의 이유로 공부를 하고 계시죠?
개인적인 취미나 취업을 위해 준비하시는 분 등등...
공통점이라면 자신의 일본어실력을 테스트하기 위해 일본어시험을 준비하거나 이미 치르셨을 거에요.
일본어시험에는 JPT와 JLPT 두가지로 나눠집니다.
이 두 시험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우선 가장 큰 차이점은 시험을 주관하는 국가가 다르다는 것입니다.
JPT는 한국에서, JLPT는 일본에서 주관을 합니다.
JLPT는 일본국제교류기금과 일본국제교육지원협회에서 주관을 하고,
일본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사람, 즉 일본국적 이외의 모든 외국인을 대상으로
일본어능력을 측정하고 인정하는 시험이에요.
그래서 이 시험은 해외 각국에서 응시할 수 있답니다.
반면, JPT는 한국의 YBM에서 주관하며 한국인을 대상으로 일본어능력을 측정하죠.
문제 출제는 일본의 駿台学園 [순다이학원]이라는,
유치원부터 초, 중, 고교와 전문학교, 대학을 보유하고 있는 교육재단에서 담당하고 있다고 해요.
한국에서 주관하는 시험이다 보니 한국과 일본 이외의 국가에서는 응시하실 수 없습니다.
문제를 출제하는 사람은 같은 일본인이지만, 주관이 다르니 출제문제와 채점방식도 당연히 다르겠죠?
우선 JLPT는 N1~N5으로 급수가 나눠져 있는데요.
수험자들이 자신의 레벨에 맞는 시험을 선택해서 응시할 수 있게 각 급수별로 출제문제의 난이도가 달라요.
가장 어려운 것이 N1, 가장 쉬운 문제가 출제되는 것이 N5이에요.
반면, JPT는 영어시험인 TOEIC과 같은 방식의 채점형식을 갖고 있어요.
모든 수험자들이 같은 다양한 난이도의 문제가 출제된 문제지를 풀고
990점을 만점으로 점수로 자신의 실력을 알 수 있죠.
TIP. 그렇기 때문에 일본어공부를 시작한지 얼마 안 되신 분은
자신의 레벨을 선택해서 응시할 수 있는 JLPT가 조금 더 쉽게 느껴지실 수 있을거에요.
물론 일본어공부를 오래하셔서 높은 실력을 갖고 있으신 분은 쉬운 난이도의 문제가 섞인 JPT가 더 쉽게 느껴지시겠죠?
JPT는 TOEIC과 같이 청해와 독해 각각 495점 만점으로 총 990점이 만점이 되는 간단한 형식이라면,
JLPT는 각 급수별 합격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기준점이라는 것이 존재해요.
전의 JLPT처럼 언어지식과 독해, 청해를 합한 총점이 기준점을 넘으면 합격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新(신)JLPT는 위의 표와 같이 각 분야에서도 최저 19점이라는 기준점을 넘지 못하면 불합격처리가 된답니다.
위의 표는 JPT 성적표의 예인데요.
각 분야의 점수와 참고 정보가 함께 나오죠?
참고 정보는 앞으로 공부해야 할 방향에 도움이 되는 정보로
합격, 불합격 여부에는 반영이 되지 않기 때문에 신경쓰지 않으셔도 된답니다.
시험 결과 발표는 JLPT가 시험을 보고 한달 후 인터넷으로 확인과 출력이 동시에 가능하구요.
JPT는 시험을 보고 약 열흘 후 인터넷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JLPT 합격자의 경우는 위에처럼 합격인증서와 성적표가 함께 발송되구요, 불합격자의 경우는 성적표만 발송이 된답니다.
이 외의 차이점이라고는.. 연간 시험횟수와 시간이 다릅니다.
JPT는 매달 1번 혹은 2번씩 오전에 시험이 있는 반면,
JLPT는 1년에 딱 2번. 매년 7월과 12월 낮에 시행해요.
TIP. 취업을 위해 일본어시험을 응시하시는 분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상관없이 거의 모든 기업이 JPT와 JLPT 성적을 인정한답니다.
다만 JPT의 성적이 TOEIC과 같이 상세한 점수로 나와있기 때문에
급수로 판단하는 JLPT보다 JPT를 선호하는 기업들이 다소 있다고 해요.
일본계 기업과 같은 외국 기업에서는 세계 각국에서 인정받는 JLPT쪽을 조금 더 선호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