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의 첫날이 되면 친구나 가족 등 가까운 사람들을 놀려야 한다고 생각한 것은 무슨 이유일까요?
혹은 관점을 달리해서, 왜 우리는 이 날에는 다른 사람들이 우리를 놀려도 아무렇지도 않은 것일까요?
만우절의 탄생과 관련된 이야기는 굉장히 많습니다.
하지만 가장 그럴 듯한 이야기는 16세기 프랑스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프랑스는 16세기 말에 그레고리력을 받아들였어요. 그들은 새롭게 개정된 달력에 따라 이전의 3월 25일을 새해 첫 날(New Year’s Day)인 1월 1일로 맞추어야 했죠.
이전까지는 이 날부터 1주일 동안의 축제가 벌어졌고, 특히 마지막 날인 4월 1일에는 모두가 모여서 흥겹게 노는 것으로 축제를 끝마쳤습니다. 날짜가 개정된 후부터 이 축제는 사라지게 되었지만 여전히 이 날이 새해 첫 날로 바뀌었다는 것을 제대로 기억하지 못하거나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었고 그들은 놀림감이 되었습니다.
그런 사람들은 열리지도 않는 파티에 초대되는 등 헛수고를 했으며, 심지어 사람들의 조롱이 섞인 선물을 받기도 했다고 해요. 이렇게 놀림감이 된 사람들을 프랑스에서는 ‘4월의 물고기’라는 의미의 ‘쁘와송 다브릴’이라고 불렀습니다. 왜냐하면 갓 부화한 물고기처럼 아무것도 모른 채 쉽게 ‘낚였기’ 때문이죠.
18세기에 이르자 프랑스의 이 관습은 영국으로 전해졌습니다. 영국에서는 이 날을 ‘오래된 바보의 날(All Fool’s Day)’이라고 불렀습니다.
참고로 ‘all’은 아마도 ‘old’ 즉, ‘auld’의 변형인 것으로 보입니다.
만우절과 관련된 또 다른 이야기들은 그 시기가 훨씬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하나는 노아의 홍수와 관련된 것이죠. 대홍수 이후에 노아가 비둘기를 날려 보냈는데, 비둘기는 땅을 찾을 수 없었고 결국 헛수고(fool’s errand)를 하게 되었는데 이를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만우절이라는 것입니다.
다른 하나는 로마의 봄 축제와 관련이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로마의 봄 축제는 농업의 여신 케레스(Ceres)를 기리는 축제인데요. 케레스의 딸이 지하세계의 신인 플루토(Pluto)에게 유괴되자 케레스는 딸을 구하기 위해 그리스 땅 이곳저곳을 열심히 찾아 헤매었지만 자신의 뜻을 이루지 못했고 그 결과로 만우절이 생겼다는 주장입니다.
마지막으로 이날을 기독교적 전통과 관련된 시각으로 해석하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 이야기는 그리스도를 조롱한 재판을 이용하는 것으로 만우절에 하는 조롱이나 농담은 만우절과 같은 시기에 그리스도가 겪어야만 했던 ‘조롱’을 다시 되돌아보기 위한 장치라는 것입니다.
만우절, 학교에서 이런 장난 많이 치죠...ㅋㅋ
튀김, 밥, 단무지, 순대 모양의 메모지...ㅋㅋ
귀엽네요...ㅋ
만우절 소품의 밀리언셀러, 방구방석...ㅋㅋ
만우절에는 앉을 때도 자리를 봐가면서 앉아야 할 듯 싶어요. ^^;
명절, 며느리들에게도 유용하게 사용된 가짜 깁스...ㅋ
리얼하네요...;;
만우절, 올해도 어김없이 롯데리아에서 하는 펀펀 이벤트...ㅋㅋㅋㅋㅋ
재미도 좋지만... 지나치면 큰일 나겠죠. ^^
서로가 웃을 수 있는 선 안에서 즐겁게 만우절을 보냅시다. ^^
만우절처럼 항상 웃는 일만 가득하세요^^
'이런저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승의 날 선물 best 10 (0) | 2015.05.14 |
---|---|
손글씨, 캘리그라피 (0) | 2015.04.29 |
2015 봄꽃 개화 시기 (0) | 2015.03.18 |
중입, 고입, 대입 검정고시 (0) | 2015.02.27 |
스트레스 해소법 (0) | 2015.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