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장 강박증'은 사용 여부에 관계없이 어떤 물건이든지 버리지 못하고 저장해 두는 강박장애의 한 가지입니다.
강박장애의 일종으로, 저장강박장애, 저장강박증후군 또는 강박적 저장증후군이라고도 합니다.
어떤 물건이든지 사용 여부에 관계없이 계속 저장하고,
그렇게 하지 않으면 불쾌하고 불편한 감정을 느끼게 됩니다.
저장강박증 TEST
위 사항 중 8개 이상 해당되면 '저장 강박증'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저장 강박증'은 습관이나 절약 또는 취미로 수집하는 것과는 달리,
심한 경우 치료가 필요한 행동장애로 봐야 합니다.
그 원인은 확실하지 않지만, 현재로서는 가치판단 능력과 의사결정 능력이 손상되었기 때문으로 판단합니다.
어떤 물건이 자신에게 필요한 것인지, 보관해 두어야 할 것인지 버려도 될 것인지에 대한
가치평가를 쉽게 내리지 못하고 '언젠가는 쓰겠지'하는 생각으로 일단 저장해 둔다는 것이죠.
의사결정 능력이나 행동에 대한 계획 등과 관련된 뇌의 전두엽 부위가 제 기능을 못할 때
이런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미국의 심리학자 랜디 프로스트(Randy O. Frost)와 게일 스테키티(Gail Steketee)가
저장강박 증세의 사례를 연구하여 공저한 책 '잡동사니의 역습'에 따르면,
저장강박이란 병에 관해서는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가 모호합니다.
물질주의자들은 소유물을 성공과 부를 과시하는 외면적 징표로 이용하는 반면,
전형적인 저장강박 증상자는 공적 정체성이 아니라 내면의 개인적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물건을 저장하며,
그들에게 물건은 세상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과시하는 '장식적 허울'이 아니라 '정체성의 일부'라는 것입니다.
치료는 우울증 치료제로 개발된 세로토닌(강박증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전달물질) 재흡수 차단제를 사용하여
신경을 안정시키는 방법이 있는데, 다른 강박장애보다 저장 강박증은 치료가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편, '실험사회심리학저널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에 실린 미국 뉴햄프셔대학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성장 과정이나 사회화 과정에서 주변 사람들에게 사랑과 인정을 충분히 받지 못한 사람이
물건에 과도한 애착을 쏟기 쉬우며, 인간관계에서 안정을 찾고 충분히 사랑받고 있다는 느낌을 갖게 되면
이러한 저장강박 증상은 자연스럽게 사라질 수 있다고 합니다.
'저장 강박증'에 대해 찾으려다보니.. 책 '잡동사니의 역습'을 또 소개하게 되었네요. ^^;
애정이 그리워 생기는 병, 저장 강박증.
우리, 서로에게 관심을 갖고 어울려 살아갑시다. ^^
'이런저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문안 갈 때 좋은 선물 (0) | 2016.05.26 |
---|---|
글을 잘 쓰는 법 (0) | 2016.04.29 |
스마일마스크증후군 (0) | 2016.02.01 |
푸드 트럭 (0) | 2016.01.21 |
2016년 띠별 운세 (0) | 2016.01.04 |